본문 바로가기
심리

[교육심리학] 부적응 행동의 이해

by 속마음 2024. 2. 15.
728x90
반응형
SMALL

부적응 행동의 이해

 

목표

1. 부적응 행동이 발생하는 이유를 알고 학생 개인차에 따른 효과적인 생활지도를 위한 대처방안을 실무에 적용할 수 있다.

 

내용

1. 부적응 행동에 대한 이해

개인차에 따른 부적응

학생의 문제행동 목적의 이해

 

1. 부적응 행동에 대한 이해

1) 부적응의 개념 : 개체가 가지고 있는 욕구와 환경이 가지고 있는 욕구가 충돌하여 갈등을 일으키면서 역학적 균형관계를 이루지 못한 상태를 의미한다.

2) 부적응의 특징

장기간 심리적 불쾌감의 상태가 유지된다.

현실을 왜곡된 상태로 보게 되는 인지 부족의 현상이 나타난다.

식욕부진, 편두통, 만성 위장병 같은 신체기능의 장애가 유발된다.

사회적 규범으로부터 이탈된 행동을 보인다.

 

3) 부적응의 유형

학습 부적응

수업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무기력하거나 학습 진도를 전혀 따라가지 못하는 등 학업능력 및 태도의 문제와 학습 동기의 부재와 같은 요인이 이에 해당한다.

관계 부적응

또래 집단이나 교사와의 관계에서 문제행동이 나타나는 것으로서 따돌림을 당하거나 외톨이인 경우, 또래와 자주 싸우거나 갈등을 빚는 경우, 교사와 대립관계를 가지도록 분위기를 조성하는 경우 등이 포함된다.

규범 부적응

학생으로서의 규범이나 학교의 규칙을 지키는 것을 둘러싸고 나타나는 문제행동으로서 예를 들면 복장, 머리, 화장, 흡연, 음주 등과 같은 문제로 교사와 학생이 갈등을 빚는 경우이다.

 

4) 개인차에 따른 부적응

Curwin & Mendler(1988): 학급에서 만성적으로 규칙을 위반하고 통제가 불가능한 학생의 비율이 5%미만이고 규칙을 어기는 행동을 하지만 교사의 지도로 행동이 수정되고 개선될 수 있는 학생의 비율이 15%를 넘지 않을 경우를 전형적인 학급의 구성으로 보았다.

부적응 행동은 학생의 개인차로부터 발생된다. 학습에서의 개인차가 있듯이, 부적응행동에서도 개인차가 있다는 점을 이해한다.

똑같이 규칙을 만성적으로 어기는 학생집단에 분류된다고 하더라도 그 학생들 간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

 

5) 학생의 문제행동 목적의 이해

학생의 문제행동의 목적 이해- 학생행동의 배후동기를 알아채는 민감성을 발휘해야 한다.

어떤 태도로 임하느냐에 따라, 교사의 표정과 말투, 태도와 행동, 대응방식이 전혀 달라질 것이다.

무능한 교사 : 학생의 문제행동의 목적에 대해서 고민하지 않는 교사

문제행동 : 공부에는 관심이 없고 용모에만 관심을 두는 학생

 

정리

1. 부적응 행동은 학생의 개인차로부터 발생된다. 학습에서의 개인차가 있듯이, 부적응행동에서도 개인차가 있다는 점을 이해한다.

2. 부적응 행동을 지도하는 교사에게 있어서 중요한 점은 학생이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에 대한 이해이다.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지는 행동의 원인을 알 때 계획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