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심리학 소개
목표
1. 사회심리학의 정의와 연구 목표, 학문으로서의 의의와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사회심리학의 역사와 학문적 발달 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내용
1. 사회심리학의 정의, 목표, 의의, 필요성
2. 사회심리학의 역사 및 발달 과정
1. 사회심리학의 정의, 목표, 의의, 필요성
1) 정의
다른 사람이 실제로든 상상 속에서든 곁에 있고, 없고에 따라 사람들의 생각과 느낌과 행동이 바뀌는 모습을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 (Allport, 1985)
사회적 상황 속에서 자기 자신과 타인에 관한 사람들의 사고, 감정, 그리고 행동의 본질과 원인 및 결과를 연구하는 학문
2) 목표
사회학적인 접근과 심리학적인 접근을 통합하여 개인의 심리적 작동 기제와 개인이 속한 사회적 맥락의 영향력, 그리고 그들 간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것
사회학적 접근
기본가정: 사회는 집합적 유기체로서, 개인의 의식과는 구분되는 독립적인 존재임 (Emile Durkheim, 1858~1917)
연구현상: 사회 구조적 요인(예: 역사, 경제, 정치, 문화 등)이 사람들의 사고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단위: 연구 단위 집단, 조직, 계층, 국가 등과 같은 거시적 수준
심리학적 접근
기본가정: 인간의 모든 행동은 그 사람의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의 조합임 (Kurt Lewin, 1890~1947) 연구 현상
연구현상: 개인의 내적 과정(예: 양육 방식, 학습, 성격, 동기, 신념 등)이 개인의 사고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단위: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구성원들의 개인적 수준
-> 과학적인 방법론을 통해 사회적 동물로서 인간의 본질적인 성향과 행동방식을 이해하고, 나아가 우리 사회의 다양한 갈등과 분열을 해결할 수 있는 심리적 실마리를 제공하는 것
3) 의의
(1) 다른 학문들을 서로 연결하는 다리의 역할을 함(Moscovici, 1989)
(2) 다른 인접 학문들과 공통점을 공유하고 있음
4) 필요성
(1) 인간이 사회적 동물이라는 생물학적 근거
1) 사회적 뇌 가설(Dunbar, 1998) : 인간은 생존을 위해 사회를 구성하는 전략을 선택했고, 그 결과 사회를 유지하는 능력을 발휘하기 위해 뇌의 크기가 커짐
증거: 군집의 크기가 클수록 그 군집을 구성하는 구성원들의 뇌에서 신피질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함
인간 두뇌의 용량과 기능을 고려했을 때, 가장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군집(사회관계망)의 구성원 수는 약 150명 → 던바 지수(Dunbar’s number)
2) 협력적 눈 가설(Tomasello 등, 2007) <출처 : Kobayashi 등(1997)>
WHR(Width-Height Ratio) : 눈의 세로 길이 대비 가로 길이 비율
SSI(Sclera Size Index) : 홍채의 지름 대비 노출된 안구의 너비
인간의 눈은 영장류들 중에서 공막(흰자위)이 가장 큼
이는 서로 협력하여 작업을 진행하면서(예: 사냥) 이뤄지는 커뮤니케이션 중에 상대방의 시선을 따라가기 쉽도록 진화의 압력이 작용했기 때문
(2) 인간이 사회적 동물이라는 심리학적 근거
기본 귀인 오류(FAE: Fundamental Attribution Error) : 개인이 처한 사회적 맥락과 환경이 미치는 영향력을 과소평가하고, 그 행동의 원인을 개인의 성격으로 돌리려는 경향
Ross 등(2004)의 실험 연구
상황의 힘 vs. 성격의 힘 : 상황>성격
유럽 국가들의 장기기증 비율 비교 연구(Johnson & Goldstein, 2003) : 장기기증의 희망과 비희망의 체크 기본값에 따라 비율이 달라짐 = 사회시스템의 영향받음
2. 사회심리학의 역사 및 발달 과정
1) 사회심리학의 태동
(1) 인간 행동에 대한 본능적 관점
영국의 사회학자 Spencer는 생물학자 Charles Darwin의 진화론에 영향을 받아, 진화론의 주장을 인간의 사회적 영역까지 확장 시킴
William McDougall(1908)은 Spencer의 영향을 받아 최초의 사회심리학 교과서 <An Introduction to Social Psychology> 를 출간
Floyd Allport(1924)가 발간한 <Social Psychology> 는 사회심리학 분야의 고전으로 자리 잡음
(2) 행동주의
사람들의 행동은 환경 속에서 이뤄지는 학습의 결과
연합, 강화, 관찰 모델링을 통해 학습이 일어남
보상을 받는 행동은 다시 일어날 가능성이 높고, 처벌을 받는 행동은 다시 일어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음
B. F. Skinner(1938) : “인간의 마음은 블랙박스이기 때문에 관찰할 수 없다. 다만 우리 주변
환경에 있는 보상 요인과 처벌 요인을 파악하고 이해하면 인간의 모든 행동을 이해할 수 있다”
John Watson(1930) : “나에게 건강한 아이들과 그들을 양육하는 데 필요한 환경을 내가 원하는 방식대로 만들어준다면 나는 그들 중 일부를 무선으로 선별하여 의사, 법률가, 예술가, 거지, 도둑 등 내가 원하는 사람으로 만들 수 있다”
행동주의에 대한 비판 : 동일한 환경에 대해서도 사람들마다 그것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방식이 다를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함
즉 블랙박스의 원리를 이해하려는 시도를 하지 않음
(3) 현대적 실험사회심리학의 창시 : Kurt Lewin(1890~1947)
<출처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76687&cid=62841&categoryId=62841>
독일에서 거주하던 유대인 심리학자로,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 정권의 탄압을 피해 독일에서 미국으로 이주
반유대주의에 대한 개인적인 체험을 통해 편견, 고정관념 등에 대한 깊은 관심
1945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 집단역학연구소(The Research Center for Group Dynamics)를 설립하여 실험법을 통한 인간 심리 연구의 기틀을 마련
(4) 인지 혁명
컴퓨터의 개발과 대중화로 인해 인간의 마음을 바라보는 관점에 변화가 생김
인간의 마음은 뇌(하드웨어)로 작동하는 일종의 소프트웨어라는 접근
행동주의 사조에서 큰 관심을 두지 않았던 인간 마음의 작동원리(블랙박스)를 연구하기 시작
사회인지적 관점(social cognition perspective) : 인간을 하나의 정보처리자로 가정하고, 자신이 속한 사회적 맥락과 환경, 다양한 사건과 사람들에 대한 정보를 지각-입력-저장-인출-해석하는 일련의 과정과 그 원리를 연구
(5) 최근의 사회심리학
진화적 관점(David Buss, John Tooby, Leda Cosmides, Douglas Kenrick 등)
인간의 행동은 진화적 적응의 결과라는 가정하에, 과거 생존과 번식에 유리했던 마음의 작동원리를 이해하여 현대 사회 인간의 마음을 이해하고자 함
문화적 관점(Steven Heine, Hazel Markus, Richard Nisbett, Shinobu Kitayama 등)
인간은 자신이 속한 문화에 따라 서로 다른 심리적 특성을 보유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기존의 서구 사회 중심의 심리학적 원리 규명의 조류로부터 벗어나 문화 특수적인 이론을 구성하고자 함
신경과학적 관점(John Cacioppo, Jean Decety, Gary Berntson 등)
뇌를 촬영할 수 있는 장비(예 : fMRI, ERP 등)의 발달에 따라 인간의 사고, 감정 및 행동과 뇌의 활동 간의 관계를 이해하려는 시도. 뇌파, 뇌의 다양한 영역의 산소 흐름 등을 관찰하여 뇌의 역할과 기능을 탐구함
정
1. 사회심리학은 사회적 상황 속에서 자신과 다른 사람들에 대한 사고, 감정, 행동의 본질과 원인, 그리고 결과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2. 사회심리학은 사회학과 심리학의 접근법을 통합하여 과학적인 방법론을 통해 사회적 동물로서 인간의 본질적인 성향과 행동방식을 이해하고, 우리 사회의 갈등과 분열을 해결할 수 있는 심리적인 실마리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한다.
3. 심리학의 역사를 고려할 때 사회심리학은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분야이며, 특히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인한 독일 심리학자들의 미국으로의 이주와 이들이 전쟁을 통해 지니게 된 인간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본연적인 관심이 사회심리학의 본격적인 발달을 태동시켰다.
4. 한국에서도 사회심리학은 꾸준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지속적이고 활발한 연구 활동을 통해 사회적 동물인 인간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공헌하고 있다.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담심리학] 상담이란 무엇인가 (0) | 2024.03.11 |
---|---|
[사회심리학] 사회심리학 연구 방법론 (0) | 2024.03.11 |
[대인관계의 심리학] 대인동기 이론 (0) | 2024.03.08 |
[대인관계의 심리학] 대인관계의 의미 (0) | 2024.03.08 |
[아동발달] 창의성 검사, 창의성 교육방법 및 장애요인 경감방법 (0) | 2024.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