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

[대인관계의 심리학] 대인동기 이론

by 속마음 2024. 3. 8.
728x90
반응형
SMALL

대인동기 이론

 

목표

1. 동기이론들 중 동기내용이론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실제생활에 적용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2. 동기내용이론을 인간관계에 적용할 수 있다.

3. 동기이론을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들을 이해하고 이를 실제생활에 적용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내용

1. 동기내용이론의 원리

2. 동기내용이론의 대인관계에의 적용

3. 기대이론의 특성과 원리

4. 목표설정이론의 특성과 원리

5. 강화이론의 특성과 원리

6. 사회교환이론의 특성과 원리

7. 공정성이론의 특성과 원리

 

1. 동기내용이론의 원리

1) Maslow의 동기위계이론 - 욕구 5단계

- 욕구충족의 필요성 때문 행동

(1) 생리적 욕구 : 인간행동의 가장 기초가 되는 욕구

(2) 안전 욕구 : 자신이 가진 것을 유지하고 보호하고자 하는 것도 포함

(3) 사회적 욕구: 인정을 받고 나아가 사랑받기를 원함, 집단 소속감

(4) 자존감의 욕구 : 명예와 존경심, 사회적인 위치를 갖고자 하는 욕구, 자기존중감(self-esteem)

(5) 자아실현의 욕구 : 개인의 내적 성장을 추구하고자 하는 욕구

 

2) ERG 이론

- 매슬로우: 임상적인 관찰을 바탕으로 연역적인 추리를 통해 욕구계층이론을 전개, 계층적으로 작용

- 알더퍼(C.D.Alderfer): 그동안 다른 사람들이 한 축적된 실증적인 연구와 자신이 직접 현장에서 한 실증적인 연구들을 바탕으로 ERG 이론을 제시.

- 언제든지 두 가지의 다른 욕구가 동시에 작용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매슬로우의 욕구계층이론의 문제점을 극복

- 세 범주의 욕구: 존재욕구(existence needs), 관계욕구(relatedness needs), 성장욕구(growth needs)

(1) 존재 욕구(existence needs) : 생리적인 욕구 및 안전욕구에 해당

(2) 관계 욕구(relatedness needs) : 사회적 욕구 및 존경욕구에서 타인으로부터 존경을 받고자 하는 부분

(3) 성장 욕구(growth needs) : 존경의 욕구 중 자기 자신에 대한 자신감과 자아실현의 욕구

 

3) Herzberg의 두 요인 이론

- 허즈버그는 피츠버그의 심리학연구소의 동료들과 함께 그 지방의 11개 산업체에서 선정한 약 200명의 기술자들과 회계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직무를 수행할 때 언제가 가장 즐겁고 만족스러웠으며, 어떠한 것들이 그들을 불유쾌하며 불만족스럽게 했는지를 면접을 통해 조사했다.

- 직무상 사람들이 만족감을 느끼고 일의 의욕을 느꼈을 때는 무엇인가 스스로의 노력을 통해 성취감을 맛보았을 때이며, 다른 사람들로부터 인정을 받으며 자신의 발전과 성장을 위해서 일할 때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 위생요인: 불만족을 줄이고자 하는 범주

 - 동기요인: 성취감을 얻고 자기를 성장시킴으로 만족을 얻고자 하는 영역

(1) 위생요인(hygiene factors) : 불안이나 고통을 피하려는 욕구와 관련된 요인으로서 위생 요인의 결핍은 불만족으로 이어진다. 불만족을 줄일 수 있는 상사와의 관계, 자신의 작업조건, 봉급 등

(2) 동기요인(motivators) : 잠재 능력의 실현, 개인적 성장과 관련된 요인으로서 동기 요인의 충족은 만족으로 이어진다. 직무에서 만족을 주는 성취감, 성장, 자기계발, 일 자체 등

 

 

2. 동기내용이론의 대인관계에의 적용

1) 동기위계이론과 ERG 이론의 대인관계에의 적용

- 매슬로우는 한 욕구가 충족되면 그 다음 단계 상위욕구충족을 위해 이행되는 과정만 을 강조했는데, 알더퍼에 의하면 상위욕구충족을 위해 노력하다가 그것이 좌절되면 낮은 욕구로의 퇴행도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인간은 일단 하위욕구가 충족되면 그 상위단계 욕구충족에 관심을 보이는 것이 사실이나, 상위욕구충족의 가능성이 희박할 때는 하위욕구충족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그것에 더 큰 관심을 보인다.

알더퍼의 이론에는 매슬로우의 이론에 비해 좌절-퇴행의 요소가 가미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 매슬로우는 동시에 여러 욕구가 작용하기보다는 그 중에 충족의 긴박성이 가장 큰 욕구가 행동의 동인이 된다고 보고 있지만 알더퍼는 동시에 몇 가지의 욕구가 함께 작용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알더퍼의 이론은 그동안 몇몇 실증적인 연구결과 입증이 되어 매슬로우의 이론보다 사실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으나 좀 더 많은 실증적인 연구가 밑바탕이 되어야 한다는 비판도 아울러 받고 있다.

 

2) 두요인 이론의 대인관계에의 적용

- 위생요인과 동기요인은 근본적으로 다른 개념이다. 따라서 동기 요인이 결핍되었다고 해서 불만족이 생기지 않으며, 위생 요인이 충족되었다고 해서 만족이 생기지는 않는다.

 

3. 기대이론의 특성과 원리

- 브룸(V. H. Vroom)

- 근본적으로 인간의 행동동인(motive)의 방향은 기대감(expectancy), 수단성(instrumentality), 유의성(valence) 등의 세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Vroom, 1964).

 

기대감(expectancy) : 어떤 행동이나 노력의 결과에 의해 나타나는 성과에 대한 신념

수단성(instrumentality)

열심히 노력한 성과가 과연 자기가 바라는 보상을 얻는 데 어느 정도 도움이 되는가 하는 것에 관한 믿음의 정도를 말한다.

어떤 일에 노력을 한다는 것은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것으로 그 노력이 곧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도구이며 수단인 것이다.

유의성(valence) : 어떤 보상에 대해 개인이 평가하는 주관적인 중요성 정도

- 인간의 행동의 방향은 그 사람에게 의미가 있다고 여겨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또한 그 의미 있는 것을 실제적으로 얻을 수 있는 확률이 높은 방향으로 행동을 하게 되며, 자신이 바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행동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 동기(M: motivation:) = 기대감(E) × 수단성(I) × 유의성(V) (*3가지 중 1가지라도 0이면 0

- 이론의 특징

상대방으로부터 기대하는 행동이 일어나지 않았을 경우 왜 그러한 행동을 하지 않았는지 분석가능하게 해 준다. 행동의 여러 대안들이 있을 경우 사람들은 어떠한 대안을 택해 행동으로 옮길 것인가를 예측가능하게 해준다.

인간을 철저하게 합리적인 동물로만 파악하고 있다는 데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4. 목표설정이론의 특성과 원리

- 인간이 어떠한 일을 함에 있어서 해야만 한다고 믿기 때문에 하기 보다는 목표가 확실히 주어져서 그 목표를 성취해야만 하는 것으로 받아들였을 때, 그 사람의 사고와 행동은 그 목표로 더욱 집중되게 된다는 것이다(Lock, 1976).

- 설정된 목표의 성취는 사람들에게 성취감을 주고 자신의 존재를 확인시켜 주는 역할을 하므로 행동유인 요소로서 작용을 한다.

- 모든 목표가 인간의 행동을 유인하는 목표로서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 우리가 생활함에 있어서는 여러 성취해야 할 목표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으며, 또한 그 목표들은 서로 갈등관계에 있어서 특정한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다른 목표를 포기해야 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 목표가 행동유인 요소로 작용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

 

목표의 난이도 : 합의를 통해 만들어진 성취하기 힘든 목표가 좋다.

목표의 명확성 : 구체적으로 명시

목표의 유의성 : 목표자체를 행위자 자신이 의미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야 함

 

5. 강화이론의 특성과 원리

- 삶은 곧 행동을 의미하는데, 자신의 내적인 결정보다 그 행동이 가져오는 결과에 대한 환경의 반응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 즉 특정행동의 결과가 긍정적 보상을 받게 되면 그 행동은 점점 강화되어 지속적인 행동의 패턴으로 자리를 잡게 된다는 것이 강화이론(reinforcement theory)의 핵심이다.

 

- 강화의 원칙

명확성 : 보상 받는 행동이 정확하게 인식 중요

적절성 : 행동의 중요성에 따라 보상의 정도도 달라야 함.

일관성 : 틀림없이 보상을 해주고 같은 강도의 보상

즉시성 : 행동 즉시 보상

 

6. 사회교환이론의 특성과 원리

- 사회교환이론이란 사회에서 대인관계는 상호 주고(cost)-받는(rewards) 과정, 쌍방이 남는 것(profit-taking)이 있다고 여겨질 때 상호관계가 지속

사회교환과정(the process of social exchange) : 대가와 보상을 주고받는 과정

비교수준(comparison level) : 대인관계결과에 대한 평가기준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대인관계에서 얻은 결과가 비교수준에 비해 높으면 그 관계에 만족하게 되고, 비교수준보다 낮으면 불만족스럽게 여겨져 그 상태가 지속되면 관계는 계속 유지될 수 없게 된다.

비교수준이 형성되는 과정

첫째, 현재 진행되고 있는 관계를 과거의 유사한 경험과 비교한다.

둘째, 현재 내가 맺고 있는 관계의 결과와 다른 사람이 맺고 있는 유사한 관계에서 얻는 결과를 비교한다.

셋째, 현재 자신이 맺고 있는 관계를 포기할 경우 그에 대한 대안이 있는가/없는가에 관한 것이다.

 

7. 공정성이론의 특성과 원리

- 아담스(J.S. Adams)

- 투입 대 산출의 비교를 동일한 조건하에 있는 다른 사람들의 투입 대 산출의 비율과 비교

- 다른 사람에게 투자한 노력과 정성만큼 돌려받기를 원한다는 것

인간(person) : 공정 및 불공정을 지각하는 개인

비교대상(comparison other) : 투입과 산출 비율의 비교대상이 되는 어떤 집단이나 개인

투입(input) : 인간이 관계에 쏟은 개인의 특성(시간, 노력, 관여, 배려 등)

산출(output) : 인간이 관계에서 받는 보상(인정, 선물, 칭찬 등)

- 투입(노력)에 대한 산출(보상)의 비율이 자신이 상대하는 상대방의 비율과 일치함을 지각할 때, 공정성이 존재. 비율이 불일치할 때 불공정성이 존재

- 불공정성이 지각되면 공정성을 회복하기 위해서 긴장이 유발된다. 즉 불공정성이 크면 클수록 긴장이 커진다. 그리고 불공정성의 원천과 긴장에 따라 행동과정이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개인들은 비교되는 사람의 산출보다 낮거나 높다면, 자신들의 산출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킴으로써 그들의 투입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려 한다.

- 그러나 이 행동과정이 불가능하다면 그들의 지각이 강화되지 않도록 그 관계를 벗어나려고 한다. 그러므로 극단적인 행동과정은 관계를 정리하는 것이다.

 

심화학습

지능에 대한 믿음이 동기에 미치는 영향

여성심리학자 드웩(Dweck) - 사람들이 지니고 있는 지능의 속성에 대한 믿음(혹은 암묵적 이론)이 사람들의 다양한 동기를 결정한다는 것이다.

정체이론(Entity Theory): 지능은 어느 정도 고정된 속성이며 잘 변하지 않음

증가이론(Incremental Theory): 유동적이며 얼마든지 증진

Dweck의 연구에 의하면 우리가 알고 있는 실제의 지능지수(IQ)가 얼마인가? 보다, 지능의 속성에 대해서 어떤 믿음 체계를 지니고 있는가가 과제의 선택과 과제의 수행에서 중요한 동기적 영향을 미친다.

<김현택 외 공저(2008). 현대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학습정리

1. Maslow의 동기위계이론에서는 인간이 특정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어떠한 행동을 하는 것은 단순히 인간이 가지고 있는 논리적인 사고의 결과가 아니라 그 내면에 잠재해 있는 욕구충족의 필요성 때문이며, 생리적 욕구, 안전 욕구, 사회적 욕구, 자존감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의 단계로 동기가 유발된다고 보았다.

2. ERG 이론에서는 존재 욕구, 관계 욕구, 성장 욕구의 세 범주가 있다고 보고 있다.

3. Herzberg의 두 요인 이론은 인간의 욕구를 불만족을 줄이고자 하는 위생요인과 성취감을 얻고 자기를 성장시킴으로 만족을 얻고자 하는 동기요인으로 나누었다.

4. 기대이론에서는 근본적으로 인간의 행동동인(motive)의 방향은 유의성, 기대감, 수단성의 세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5. 목표설정이론에서는 목표가 확실히 주어져서 그 목표를 성취해야만 하는 것으로 받아들였을 때, 그 사람의 사고와 행동은 그 목표로 더욱 집중되게 된다고 말한다.

6. 강화이론에 의하면 특정행동의 결과가 긍정적 보상을 받게 되면 그 행동은 점점 강화되어 지속적인 행동의 패턴으로 자리를 잡게 된다.

7. 사회교환이론에 의하면 대인관계는 주고받을 수 있는 그 무엇이 있어야 형성되며, 그 주고받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결과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일 때 지속된다.

8. 공정성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자신이 다른 사람에게 투자한 노력과 정성만큼 돌려받기를 원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문헌

- 인간관계 심리학, 손영화, 학지사(2016).

- 대인관계의 심리, 송관재, 선학사(2016).

- 인간관계의 심리, 유영달 외 10명 공저, 학지사,(2013).

- 인간관계의 심리학, 권석만, 학지사,(2004).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