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심리학 연구 방법론
목표
1. 사회심리학에서 수행하는 과학적인 연구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연구의 윤리적 고려사항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내용
1. 사회심리학의 연구 방법론
2. 연구 윤리
1. 사회심리학의 연구 방법론
사회심리학은 과학적인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객관적이고 엄밀한 방식으로 인간 심리를 탐구함
1) 과학적 연구 방법의 특징
(1) 관찰, 측정 가능성
연구하고자 하는 현상/문제를 직접 관찰할 수 있어야 함
(2) 재현 가능성
한 연구자가 발견한 논문에 자신의 연구 방법을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기술함으로써 결과를 다른 연구자들도 똑같이 발견할 수 있어야 함
자신이 수행한 연구를 다른 사람이 동일하게 수행하였을 때에도 똑같은 결과를 관찰할 수 있어야 함
(3) 반증 가능성
연구자의 주장이 언제든지 다른 연구로 인해 반박될 가능성이 열려 있어야 함
‘신은 존재한다’는 주장은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과학적인 증거를 제시할 수 없기 때문에 과학적인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없음
2) 상식과 사회심리학적 지식 차이
사회심리학은 우리의 일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주제들(예: 행복, 공격성, 대인관계 등)을 연구하기 때문에, 과학적인 연구의 결과와 일반인들의 상식이 비교적 일치하는 경우가 있음
그러나 상식은 과학적 방법이 아닌 개인의 경험과 직관에 의존한 지식이기 때문에 사회심리학적 발견과 질적으로 다름
3) 사회심리학 연구의 절차
(1) 현상 관찰 및 이론 수립
연구자의 관심사에 따라 다양한 사회 현상을 관찰하고 연구 문제를 선정
마음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 사회심리학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생산적인 연구 문제를 선정
유사한 또는 동일한 주제를 다룬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여 연구자만의 이론을 수립
이론 : 특정 변인들 간의 관계가 나타나는 이유와 원리에 대한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설명
(2) 가설 설정
가설 : 이론으로부터 도출된 두 개 이상의 변인 간의 관계에 대한 관찰 가능한 구체적인 예측
‘if X, then Y’, ‘만약 ~한다면, ~할 것이다’ 의 형식
(3) 연구 수행
연구의 목적이나 가설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연구 방법을 사용
(4) 결과 분석 및 해석
연구자가 수집한 데이터의 유형과 특성에 따라 다양한 통계 기법을 사용
SPSS, R, SAS, AMOS 등 다양한 통계분석 프로그램 활용
분석한 결과를 해석할 때는 연구자의 주관이나 편향이 개입되지 않도록 객관적으로 해석해야 함
연구자의 가설을 지지하지 않는 결과는 무시하는 행위는 금지(연구 윤리 관련)
(5) 동료 연구자들과 연구 결과 공유
학술지에 논문을 기고하여 전 세계 모든 연구자들이 본인의 연구에 대해 알 수 있도록 공유
학술지에 논문이 출판되는 과정
① 본인이 수행한 연구의 주제와 관련이 있는 학술지 선정하여 논문 투고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Psychological Scienc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Asi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② 동료 평가(peer-review) 시행
투고된 논문의 주제에 대한 전문가 3명 정도로 구성된 익명의 심사위원단
해당 논문의 방법론적 엄밀성, 객관성, 결과 해석의 타당성, 연구 주제의 함의 등을 평가
심사위원단의 피드백에 따라 논문의 일부를 수정하거나 추가 연구를 실시하여 재심사를 받기도 함
③ 최종 출간
최종적으로 동료 평가를 통과한 논문만 출간됨
논문 투고부터 최종 출간까지 짧게는 6개월, 길게는 1년 이상 소요
동료 연구자들은 출간된 논문을 읽고 새로운 연구 문제를 도출하거나 기존의 이론을 보완할 수 있음 → 학문이 스스로 발전해가는 과정
4) 사회심리학 연구의 유형
(1) 관찰 연구
특정 집단이나 문화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연구자가 자연적으로 현상을 관찰
실험 연구를 수행하기 어려울 경우의 대안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인과관계를 밝힐 수 없음
관찰의 대상이 되는 사람들이 평소와 다르게 행동할 수 있음(참고: Hawthorne effect)
(2) 상관 연구
관찰이나 설문 조사를 통해 서로 다른 변인들 간의 관계(인과관계x)를 파악
상관 계수(correlation coefficient, r ) :두 가지 이상의 변인을 체계적으로 측정하고 이들의 관계를 수치로 나타낸 것
-1 ≦ r ≦ +1
한 변인의 값이 증가(감소)함에 따라 다른 변인의 값이 감소(증가)할 경우 : 부적 상관(r < 0)
한 변인의 값이 증가(감소)함에 따라 다른 변인의 값도 증가(감소)할 경우 : 정적 상관(r > 0)
한 변인의 값이 증가(감소)함에 따라 다른 변인의 값이 영향을 받지 않을 경우 : r = 0
상관 계수의 절대값이 클수록 두 변인은 강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함
단, 아무리 강한 상관 관계라도 그것이 곧 인과 관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
제3의 변인(lurking variable) 문제
연구자가 측정하지 않은 변인들 중에 실제로 연구자가 측정한 다른 변인들의 관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존재할 수 있음
(3) 실험 연구
변인 간의 인과 관계를 추론할 수 있는 연구 방법
인과 관계가 성립되기 위한 조건(John S. Mill)
① 원인(X)이 결과(Y)보다 시간적으로 앞서야 함
② 원인(X)이 변하면 결과(Y)도 변해야 함
③ 원인(X)이 아닌 다른 것이 결과(Y)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 됨
실험은 독립변인(independent variable)을 조작 또는 처치하여 종속변인(dependent variable)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
독립변인 외에 종속변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잠재적인 변인들을 통제
무선 표집 (random sampling) 모집단에 속해 있는 사람들을 동일한 확률로 표본으로 추출함
무선 할당 (random assignment) 독립변인의 조작/처치 조건들 중 하나에 속할 확률을 동일하게 설정
사회심리학 연구의 대상이 되는 변인들 중에는 조작이 불가능하여 실험 연구를 할 수 없는 경우들이 있음(예: 성별, 인종 등)
시간, 장소, 비용 등의 현실적인 문제로 인해 실험 연구를 진행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음
따라서 관찰 연구, 상관 연구, 실험 연구는 상호 배타적인 관계가 아니라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서 인간의 마음을 보다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줌
2. 연구 윤리
사회심리학의 고전적인 연구로 손꼽히는 Milgram(1974)의 실험은 참가자들로 하여금 자신이 상대방에게 전기 충격을 가하고 있다고 믿게 만듦으로써 극도의 불안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했음
최근에는 심리학계 내에서 연구 자료에 대한 고의적인 누락 및 조작 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음
이러한 다양한 윤리적인 고려사항들이 논의되면서 최근에는 연구 참가자들이 곤란함, 불편감, 불안이나 스트레스 등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연구 결과의 출판 과정에서의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 또한 다각도로 이뤄지고 있음
1) 연구 진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
참가자의 스트레스 경험
불편한 과업을 하거나 원치 않는 행동을 요구받을 때 스트레스를 경험할 수 있음
참가자에 대한 기만
참가자가 연구의 목적을 알게 되면 그것이 객관적인 연구 수행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에 거짓으로 연구의 목적을 설명(위장 설명, cover story)하는 경우가 있음
2) 연구 결과의 출판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
서류함 문제(file drawer problem) § 연구자가 본인의 가설을 지지하지 않는 연구 결과를 의도적으로 무시하거나 누락시킬 수 있음
자료 조작
본인의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가 나오게끔 의도적으로 자료를 조작할 수 있음
3) 연구 윤리 강화를 위한 심리학계의 노력
연구 참가자에게 사전에 연구의 위험성에 대한 설명을 충분히 제공하고, 자발적인 동의(informed consent)를 얻음
참가자가 원할 경우에는 언제든지 참가를 철회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어떠한 불이익도 없다는 것을 분명하게 밝힘
참가자가 제공한 모든 정보는 익명과 비밀을 보장하며, 개인의 신원을 알 수 없는 방식으로 정보를 보관‧처리함
연구의 목적상 부득이하게 위장 설명을 제공하였을 경우, 연구 종료 후 본래의 연구 목적과 위장 설명의 필요성을 알리는 사후해명(debriefing) 절차를 거침
대학 및 연구소는 기관심사위원회(IRB : Institutional Review Board)를 설치하여 연구자가 위의 모든 절차와 규칙을 명확히 준수하는지 심사하며, 연구자는 사전에 기관심사위원회에 연구계획서를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함
한국도 기관생명윤리위원회를 설립하여 2013년부터 심리학 연구에 대한 사전 심사를 진행함
연구 사전 등록제(pre-registration) : 연구자가 별도의 인터넷 플랫폼을 통해 사전에 연구의 가설과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방법 등을 문서화하여 공개적으로 등록하고, 그에 따라 연구를 수행하는 방법
정리
1. 사회심리학은 과학적인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인간의 심리를 탐구한다.
2. 사회심리학적 지식은 객관성을 확보한 내용을 바탕으로 미래를 예측하는 데 목적이 있다는 점에서, 개인의 경험과 직관에 의존하여 사후적인 설명에 주로 사용하는 일반인들의 상식과는 다르다.
3. 사회심리학의 연구 방법에는 크게 관찰 연구, 상관 연구, 실험 연구가 있으며 이들은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각 연구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여 인간의 마음을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한다.
4. 상관 연구는 상관 계수를 통하여 두 변인들 간 관계의 경향성과 강도를 밝혀줄 뿐, 인과 관계에 대한 정보는 알수 없다. 따라서 상관 관계를 통해 인과 관계를 추론하는 것은 논리적인 오류이다.
5. 실험 연구는 변인들 간의 인과 관계를 밝힐 수 있는 유일한 연구 방법이기 때문에 사회심리학에서 가장 널리 쓰인다.
6. 사회심리학의 연구 과정과 연구 결과물의 출판 과정에서 다양한 윤리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연구자와 학계는 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담심리학] 상담자 전문가가 되려면 (0) | 2024.03.11 |
---|---|
[상담심리학] 상담이란 무엇인가 (0) | 2024.03.11 |
[사회심리학] 사회심리학 소개 (1) | 2024.03.11 |
[대인관계의 심리학] 대인동기 이론 (0) | 2024.03.08 |
[대인관계의 심리학] 대인관계의 의미 (0) | 2024.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