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목표
1. 초보 상담자들이 상담할 때 겪게 되는 어려움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상담 결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설명할 수 있다.
내용
1. 초보상담자들이 어려워하는 부분
2. 상담 결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
1. 초보 상담자들이 어려워하는 부분
1) 상담자가 경험하는 어려움들
긴장과 불안: 상담현장에서 상담자는 내담자들과의 만남에서 긴장과 불안으로 어려움을 경험하기도 함
한계와 당황: 상담 이론대로 상담이 진행되지 않을 때 당황하기도 함
회의: 상담이 잘 되지 않을 때 상담자 자질과 전문성에 대해 회의를 느끼기도 함
배움과 성장: 좋은 상담자는 고통과 좌절 속에서 끊임없는 노력으로 성장함
2) 상담 장면에서 어려움을 겪는 초보 상담자 유형
(1) 내담자의 이야기를 듣기 어려운 상담자
상담 자체에 대한 불안 때문
좋은 인상을 주고 싶은 마음이 있기 때문임
(2) 말하기를 좋아하는 상담자의 경우
상담의 70%는 내담자의 말을 듣는 것임
말하기보다 듣기와 공감하기가 중요함
(3) 침묵을 힘들어하는 상담자
내담자의 침묵은 그에게 아주 중요한 의미의 순간임
침묵이 일어나는 동안 침묵의 의미와 내담자의 감정을 파악해야 함
침묵의 순간에는 내담자의 비언어적 표현에 집중해야 함
침묵을 잘 다루면 더 깊은 상담으로 몰입 가능함
(4) 서둘러 도움을 주고, 상담 효과를 보고 싶은 상담자
내담자를 파악하지 않은 채 성급하게 도우려는 것은 비효과적임
상담자 자신의 욕구를 잘 파악해야 함
(5) 내담자의 문제에만 초점을 두는 상담자
내담자의 문제만 보게 되면 내담자 이해에 오류 발생
내담자는 자신의 삶을 위한 내적인 자원을 가지고 있는 존재로 상담자는 내담자의 문제 이면에 있는 아름다움을 볼 수 있는 사람임
(6) 언제나 동일한 이론을 적용하는 상담자
어느 특정 이론으로 인간을 다 이해할 수 없음
상담자는 많은 상담 이론을 습득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함
통합적인 관점에서 내담자를 도와야 함
3) 그 밖의 어려움
(1) 상담자의 역전이 문제
전이: 내담자의 해결되지 않은 과거 문제 때문에 왜곡된 방식으로 상담자를 지각하는 것
역전이 : 상담자의 문제로 내담자를 왜곡된 방식으로 지각하는 것
상담자는 전이 및 역전이 문제를 파악하고 슈퍼 비전(상담감독)의 도움을 받아야 함
(2) 상담자의 소진
소진된 상담자는 일, 삶, 타인에 대해 부정적 태도, 절망과 피곤을 표출함
상담자도 다른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함
자신을 돌보고, 재충전하는 것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함
4) 초보 상담자가 겪게 되는 내담자의 문제
(1) 상담자에 대해 강한 전이 감정을 보일 때
(2) 내담자의 저항문제
(3) 비자발적인 내담자
(4) 의존적인 내담자
(5) 지나치게 말이 많은 내담자
(6)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내담자
2. 상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1) 내담자 요인
상담에 대한 기대
문제의 심각성 : 심각한 문제일수록 상담이 어려워짐
상담에 대한 동기
지능
정서 상태
방어적 태도
자아 강도 : 자아 강도가 높을수록 상담 효과가 좋음
바람직하지 않은 내담자의 행동 및 태도
예) 상담자에 대한 숭배, 의존, 불필요한 웃음과 산만한 행동
2) 상담자 요인
상담자의 경험과 숙련성
상담자의 성격
내담자에 대한 공감, 인내, 지배성 등에 영향을 줌
상담 이론의 선택과 활용에 영향을 줌
상담자의 지적 능력 : 내담자 이해에 영향을 줌
내담자에 대한 호감도
3) 상호작용 요인
상호유사성
공동협력(작업동맹)
상담자와 내담자가 함께 상담의 목표를 정하고, 협력하려는 정도
상담자와 내담자의 의사소통 양식
정리
1. 상담장면에서 겪게 되는 어려움은 상담자 자신이 가지고 있는 문제, 내담자 문제가 있다.
2. 상담자 문제로는 내담자의 이야기를 듣기 어렵거나, 침묵을 힘들어 하는 상담자, 급한 상담자, 내담자의 문제에만 초점을 두는 상담자, 언제나 동일한 이론만 적용하는 상담자, 상담자의 역전이 문제 및 상담자의 소진 문제가 있다.
3. 내담자의 문제는 상담자에 대한 강한 전이 감정을 보이거나, 저항문제, 비자발성, 의존성, 지나치게 말을 많이 하거나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것 등이 있다.
4. 상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상담자 요인, 내담자 요인, 상호작용요인이 있다.
참고
- 상담의 기술, 클라라 힐, 학지사. 2012
-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천성문 외, 학지사. 2021.
- 상담심리학, 이연수 외, 양서원. 2017.
- 좋은 상담자 되기, 제랄드 코리, 사회평론아카데미. 2016.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관계론] 서로 다름의 이해 2 (0) | 2024.03.27 |
---|---|
[인간관계론] 서로 다름의 이해 1 (0) | 2024.03.27 |
[상담심리학] 내담자 이해 (1) | 2024.03.27 |
[사회심리학] 자아의 유지와 조절 2 (0) | 2024.03.27 |
[사회심리학] 자아의 유지와 조절 1 (0) | 2024.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