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기억의 구조
목표
1. 장기기억의 특징을 단기기억과 비교할 수 있다.
2. 장기기억의 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
3. 일화기억과 의미기억을 설명할 수 있다.
내용
1. 장기기억의 특징
2. 장기기억의 유형
3. 일화기억과 의미기억
1. 장기기억의 특징
1) 장기기억
오랜 기간 동안 정보의 저장을 담당하는 체계
경험했던 과거 사건들에 관한 정보 및 학습했던 지식의 기록 보관소
장기기억에 속하는 경험의 기간: 수십년 전 ~ 30초 전
⇒ 유년기 시절부터 30초 전까지 기간 동안 겪은 일은 모두 장기기억으로 분류됨
<출처: 인지심리학, E. Bruce Glostein 지음, CENGAGE Learning. 2017>
2) 계열위치곡선
(1) 기억의 계열위치효과 실험
실험 절차: 단어들을 순서대로 제시한 직후 자유 회상하도록 함
1. 바리케이드 6. 미터 11. 불사조 16. 비행기
2. 아동 7. 여행 12. 코로나 17. 의자
3. 다이어트 8. 토마토 13. 초인종 18. 서랍
4. 바가지 9. 다리미 14. 생쥐 19. 야구
5. 도서 10. 객실 15. 메뉴 20. 구멍
결과: 항목들이 제시된 순서(계열 위치)에 따라 회상률이 다름
(2) 계열위치효과
⇒ 계열위치곡선(Murdoch, 1962).
목록의 시작 부분과 마지막 부분에 제시된 단어들에 관한 기억이 더 우수함
<출처: 인지심리학, E. Bruce Glostein 지음, CENGAGE Learning. 2017>
초두효과(primacy effect): 목록 앞부분에 제시된 단어들의 기억 회상 가능성이 높음
최신효과(recency effect): 목록 뒷부분에 제시된 단어들의 기억 회상이 우수함
(3) 계열위치효과의 발생 이유
초두효과 → 더 많이 되뇌기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장기기억으로 쉽게 전이됨
최신효과 → 단기기억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기억해내기 쉬움
3)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의 부호화
(1) 부호화(encoding): 자극 정보가 표상되는 형태
시각적 부호화 - 시각적 심상의 형태로 부호화함
청각적 부호화 - 소리의 형태로 부호화함
의미적 부호화 - 의미에 따라 부호화함
(2) 시각적 부호화
단기기억: 자극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상함으로써 기억하기
예) 심적회전에서 모양에 대한 기억
장기기억: 과거 경험에서 사람, 장소의 시각적 속성
예) 초등학교때 선생님의 얼굴 기억
(3) 청각적 부호화
단기기억: 음운 유사성 효과의 예
장기기억: 익숙한 노래를 부를 때 청각적 표상이 촉발됨
(4) 단기기억의 의미적 부호화
Wichens 등(1976)의 실험 절차
두 집단은 매 시행 3개의 단어를 제시받음
과제는 각 시행마다 15초 동안 숫자 거꾸로 세기를 한 후 단어를 회상하는 것임
⇒ 실험에 사용된 자극
과일집단은 매 시행 과일이름이 제시되었고,
직업집단은 4시행에서 직업이름 대신에 과일이름이 제시됨
결과: 동일 범주의 자극들은 순행간섭이 나타남
⇒ 순행간섭
과일 집단이 시행 2~4에서 보이는 수행 감소는 순행간섭에 의해 야기되었음
직업집단이 시행 4에서 보이는 수행 증가는 순행간섭의 해제를 나타냄
• 순행간섭: 이전에 학습한 정보가 새로운 정보의 학습을 간섭할 때 발생하는 기억의 감소
• 역행간섭: 새롭게 학습한 정보가 이전에 학습한 정보를 간섭할 때 발생하는 기억의 감소
함의: 순행간섭의 해제는 단기기억에서 의미적 부호화 효과를 반영한 것
(5) 장기기억의 의미적 부호화
Sachs의 연구(1967) 절차
참가자에게 어떤 문장을 듣거나 읽도록 함
정확한 문장을 기억하는지 일반적인 의미를 기억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재인기억을 측정함
망원경에 관해 흥미로운 이야기가 있다. 네덜란드에 리페르셰이라는 안경 제조업자가 있었다. 어느 날 그의 아이들이 렌즈 몇 개를 갖고 놀고 있었다. 그들은 두 개 렌즈를 약 30cm 정도
떨어뜨렸을 때 사물이 매우 가깝게 보인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리페르셰이는 실험을 시작하였는데 그의 스파이 안경은 많은 주목을 끌었다. 그는 그것에 관한 편지를 이탈리아의 위대한 과학자인 갈릴레오에게 보냈다. 갈릴레오는 이 발견의 중요성을 바로 알아차리고서 스스로 기구 제작에 착수하였다. 이제 글을 덮고 다음 문장들 가운데 어느 문장이 앞서 글 안의 문장과 동일하고 어느 문장이 바뀌었는지를 지적해 보라. 가. 그는 그것에 관한 편지를 이탈리아의 위대한 과학자인 갈릴레오에게 보냈다. 나. 이탈리아의 위대한 과학자인 갈릴레오는 그것에 관한 편지를 그에게 보냈다. 다. 그것에 관한 편지가 이탈리아의 위대한 과학자인 갈릴레오에게 보내졌다. 라. 그는 이탈리아의 위대한 과학자인 갈릴레오에게 그것에 관한 편지를 보냈다. 결과: 특정한 표현은 망각되지만 일반적인 의미는 오랫동안 기억됨
함의: 장기기억에서 의미적 부호화를 사용함
2. 장기기억의 유형
1) 신경과학 연구에 근거한 장기기억의 분류(Squire, 1986)
각 기억은 서로 다른 두뇌 구조와 처리과정과 연합되어 있음
2) 외현기억(explicit memory)
자각하는 기억
기억을 하고 싶어서 기억하는 방식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회상할 수 있는 기억
명시적 기억, 서술적 기억, 선언적 기억이라고도 함
의미기억과 일화기억으로 구성됨
3. 일화기억과 의미기억
1) 기억 정보의 유형에 따른 구분(Tulving, 1985)
(1) 일화기억(episodic memory)
개인적 경험, 사건, 일화에 관한 기억
사건이 일어난 특정 시간, 공간, 상황 등 맥락 정보가 함께 저장됨
예) 지난 주말 경기 관람, 작년 생일에 있었던 일 등
(2) 의미기억(semantic memory)
일반적인 세상의 지식과 사실에 관한 기억
사물 간의 관계, 단어의 의미들 간의 관계에 대한 지식
예) 지구의 둘레는 약 4만km이다. 타조는 새다.
2) 신경심리학적인 증거
(1) 환자 K. C.의 사례
30세에 차량 사고로 해마와 주변 구조가 심각하게 손상됨
주요 증상
의미기억은 정상 (예: 형제가 사망했다는 사실은 기억함) § 일화기억이 손상 (예: 장례식에서 있었던 일 등의 경험은 전혀 기억 못함)
(2) 이탈리아 여성의 사례
44세에 뇌염을 앓기 전에는 건강하였음
주요 증상
의미기억은 손상 (예: 친숙한 사람, 단어의 의미를 기억하는 데 어려움) § 일화기억은 정상 (예: 일상적 사건들을 기억함)
(3) 뇌 영상 실험(Levine 등, 2004)
절차: 일화기억, 의미기억을 떠올릴 때의 뇌를 fMRI 촬영
결과: 일화기억과 의미기억에 의해 활성화된 영역이 다르며 일부 중첩됨
⇒ 일화기억에 의해 활성화된 영역(노랑)과 의미기억과 관련된 영역(파랑)
<출처: 인지심리학, E. Bruce Goldstein 지음, CENGAGE Learning. 2017>
3) 일화기억과 의미기억의 상호작용
지식(의미적)이 경험(일화적)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 경기의 규칙에 대한 지식은 경기를 경험하는 방식에 영향을 줌
예) 규칙을 알거나 모르고 축구 경기를 볼때의 차이
자전적 기억(autobiographical memory) § 삶의 특정 경험에 관한 기억
일화적 기억과 의미적 기억의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음
예) 유명 선수에게 싸인 받은 경험 (그 선수가 유명하다는 의미 기억을 포함하고 있음)
정리
1. 장기기억은 수십 년 전부터 30초 전에 이르기까지의 오랜 기간 동안의 정보를 저장하는 체계이다.
2. 장기기억은 외현기억과 암묵기억으로 나뉘고, 외현기억은 다시 일화기억과 의미기억으로 나뉜다. 암묵기억은 절차기억, 점화, 연합학습으로 구분된다.
3. 개인적 경험이나 사건에 관한 기억은 일화기억이고 일반 지식과 사실에 관한 기억은 의미기억이다. 두 기억이 작동할 때 뇌에서는 각기 다른 영역이 활성화된다.
참고
- 인지심리학, Robert J. Sternberg, Karin Sternberg. 박학사. 2016
- 인지심리학, E. Bruce Glostein 지음, CENGAGE Learning. 2017
- 기억의 비밀, 에릭 캔델, 래리 스콰이어 지음, 해나무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상심리학] 지능 1 (1) | 2024.04.18 |
---|---|
[인지심리학] 절차기억 (0) | 2024.04.17 |
[인지심리학] 작업기억 (0) | 2024.04.17 |
[인지심리학] 단기기억 (0) | 2024.04.17 |
[인간관계론] 설득의 기술 (0) | 2024.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