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차기억
목표
1. 과거 기억과 미래 계획의 연관성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절차기억의 본질과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3. 암묵기억으로써 점화와 조건형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내용
1. 기억과 미래 계획
2. 절차기억
3. 점화와 조건형성
1. 기억과 미래계획
1) 메타기억(meta-memory)
기억술과 기억 보조수단을 사용하여 기억하는 방법을 관리하는 것
예) 기억 보조 도구: 메모, 노트, 알람 활용
예) 물리적 제약의 활용: 비 예보를 듣고 문 앞에 우산 두기
2) 미래계획 기억(prospective memory)
앞으로 해야 할 일, 기억해내야 할 것에 대한 기억
예) 투약 계획, 오후의 중요 일정, 내일 제출할 과제
과거경험 기억과 대비되는 개념
3) 과거 기억하기와 미래 상상하기
과거 기억능력과 미래 시나리오 생성 능력의 연관성
과거를 기억할 때 활성화되는 뇌 영역과 미래를 상상할 때 활성화되는 영역이 동일함
과거 기억과 미래 예측에 유사한 신경기제가 관여함을 시사함
구성적 일화 시뮬레이션 가설(Schacter와 Addis, 2007)
일화기억은 미래 사건의 시뮬레이션을 구성하기 위해 추출되고 재결합된다는 것
일화기억의 주요 역할은 과거를 기억하는 것이 아님
미래 행동에 도움이 되도록 가능한 시나리오들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일화기억의 역할
2. 절차기억
1) 암묵기억(implicit memory)
자각하지 않는 기억
경험에 의한 학습에 의식적 기억이 수반되지 않을 때 일어남
비서술적 기억이라고도 함
⇒ 암묵기억의 주요한 세 유형: 절차기억, 점화, 조건형성
2) 절차기억(procedural memory)의 의미
학습된 기술을 수행하는 것에 관한 기억
기술기억(skill memory)라고도 함
3) 절차기억의 암묵적 본질
기억상실증을 가진 음악가의 사례
장기기억의 생성 능력은 상실하였지만 피아노는 연주할 수 있음
H.M 환자의 거울상 그리기 학습
거울상 그리기 과제
⇒ 거울에 비친 별의 이미지를 보면서 윤곽선을 따라 그리기
<출처: 인지심리학, E. Bruce Goldstein 지음, CENGAGE Learning. 2017>
H.M은 거울상 그리기를 연습한 것을 기억 못하지만 과제 수행은 우수함
재활 치료에 활용
재활훈련으로 우편물 분류, 반복적 컴퓨터 수행 과제를 연습하여 전문가 수준에 도달함
⇒ 기억상실증 환자들은 과거 배운 기술을 유지하고 새로운 기술을 학습할 수 있음
3. 점화와 조건형성
1) 점화(priming)
점화는 한 자극(점화자극)의 제시가 다른 자극(검사자극)에 대한 반응 방식을 변화시킬 때 일어남l 반복점화
점화의 한 유형
검사자극이 점화자극과 동일, 유사할 때 일어남
예) ‘새’를 보면 나중에 다른 단어에 비하여 ‘새’를 볼 때 더 빨리 반응함
점화자극을 기억 못해도 점화 효과가 일어날 수 있음
2) 점화효과의 검증 실험(Graf 등, 1985)
실험 절차
참가자를 3집단으로 구성: 코르사코프 증후군 환자, 알코올 중독자, 정상인
참가자 과제: 단어 10개를 읽고 좋아하는 정도를 평정하기
단어 평정 직후 두 검사 중 하나를 수행함 - 외현기억 검사: 읽은 단어를 회상하도록 함
- 암묵기억 검사: 단어완성 검사
실험 결과
코르사코프 질환자는 다른 집단에 비해 단어 회상률이 낮음
코르사코프 질환자는 다른 집단과 유사한 단어완성 검사의 수행을 보임
함의
낮은 회상율은 기억상실증 환자들의 외현기억이 빈약함
유사한 단어 완성율은 점화효과로서 암묵기억은 정상적임
3) 일상에서의 점화 효과
일상생활에서 반복점화의 가능성
자각하지 못해도 모든 일상적 경험에서 반복점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음
암묵기억이 자각되지 않고 우리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예) 상품 광고의 단순 노출 효과
선전 효과(propaganda effect)의 검증 실험
실험 절차
- 참가자들에게 어떤 잡지의 기사들을 유심히 살펴보도록 함
- 인쇄물의 각 쪽에는 광고가 붙어 있었음(광고를 보거나 보지 말라는 지시는 없었음)
- 나중에 광고에 대한 매력도, 독특성, 기억 가능성 등을 평정하도록 함
실험 결과
- 본 적 없는 광고들에 비해 보았던 광고들을 더 높은 점수를 줌
- 25개 광고 중에서 2.8개만 회상함 (암묵기억)
함의
- 이전에 읽거나 들었던 진술문을 단지 노출된 경험 때문에 사실이라고 평가할 가능성이 높음
- 진술문을 처음 읽거나 들을 당시 거짓이라는 말을 들었을 때조차 나중에 사실로 평가함
4) 고전적 조건형성
고전적 조건형성의 의미
두 자극을 짝지어 미래의 사건을 예측하거나 반응하는 것
일상에서의 조건형성
주로 정서적 반응과 결부됨
5) 영화에서의 기억상실
영화 본 아이덴티티(2002) § 의식을 회복한 주인공은 자신의 정체성에 관한 기억이 전혀 없음
→ 일화기억은 상실되었고 의미기억은 정상
CIA 요원 시절 훈련으로 획득한 기술은 정상
→ 절차기억은 정상
주인공의 상황은 해리성 둔주(dissociative fugue)라는 질환과 관련이 있음
- 자신의 정체성, 자기 관련 정보를 상실해 예기치 않은 여정에 오르는 상태임
영화 메멘토(2000) 주인공은 방금 발생한 것을 망각함: 새로운 기억을 형성하지 못함
→ 단기기억 상실증 (H.M 사례에 근거) § 자신의 몸에 문신, 폴라로이드 카메라로 경험을 기록함
→ 메타기억, 기억보조술을 이용
정리
1. 과거에 대한 기억과 미래를 계획하고 상상하는 능력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일화기억은 미래행동을 이끄는 것을 돕는 것이라고 제안되었다.
2. 자각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학습으로서 암묵기억은 절차기억, 점화, 조건형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절차기억은 학습한 많은 기술들의 공통 성분이다.
3. 동일하거나 관련된 자극이 반복하여 제시될 때 점화가 일어나며 광고 효과는 실생활에서 일어나는 암묵기억의 한 사례이다. 고전적 조건형성이 된 정서는 일상 경험에서 일어난다.
참고
- 인지심리학, Robert J. Sternberg, Karin Sternberg. 박학사. 2016
- 인지심리학, E. Bruce Glostein 지음, CENGAGE Learning. 2017
- 기억의 비밀, 에릭 캔델, 래리 스콰이어 지음, 해나무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상심리학] 지능 2 (0) | 2024.04.18 |
---|---|
[임상심리학] 지능 1 (1) | 2024.04.18 |
[인지심리학] 장기기억의 구조 (1) | 2024.04.17 |
[인지심리학] 작업기억 (0) | 2024.04.17 |
[인지심리학] 단기기억 (0) | 2024.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