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관형 검사
목표
1. 객관형 검사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2. MMPI의 타당도를 설명할 수 있다
3. MMPI의 임상 척도를 설명할 수 있다
4. MMPI의 임상 소척도를 설명할 수 있다
내용
1 객관형 검사의 특징
2. MMPI의 타당도
3. MMPI의 임상 척도
4. MMPI의 임상 소척도
1 객관형 검사의 특징
1) 객관형 성격 검사
고정된 선택지
이분형 척도 : 예, 아니오
차원형 척도 :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2) 객관형 성격 검사의 장점
경제적
대규모 집단 검사
컴퓨터 실시 및 채점
단일 차원/특질에 대한 단순한 점수화 가능
뚜렷한 단순성
객관성과 신뢰도
2. MMPI의 타당도
1) MMPI의 특징
자기 보고식 검사
이분형 응답
목적 : 정신과적 진단을 확인, 범주화, 성격적 특성을 추론하는 데에도 사용, 컴퓨터 실시, MMPI-2와 MMPI-A, MMPI의 타당도 척도
2) MMPI의 타당도 척도
? (무응답) 척도 : 빠뜨린 문항과 [그렇다]와 [아니다]에 모두 응답한 문항들의 총합
VRIN (무선반응 비일관성) 척도: 내용상 ‘유사한’ 문항 쌍 혹은 내용상 ‘상반된’ 문항 쌍에 대해 비일관적으로 응답한 문항 쌍의 개수
TRIN (고정반응 비일관성) 척도 : 내용상 ‘상반된’ 문항 쌍에 대해 비일관적으로 반응한 문항 쌍의 수
(비전형) 척도 :한 사람의 생각이나 경험이 다른 사람들과 다른 정도♗ 검사 전반부 비전형 반응 탐지
F(B) (비전형-후반부) 척도 ; 검사 후반부 비전형 반응 탐지
F(P) (비전형-정신병리) 척도 : 정신과 환자의 경우도 Fp 문항에 거의 반응하지 않음, 부정왜곡 가능성 높음
L (부인) 척도 : 대부분의 사람들이 인정하는 사소한 결점이나 인간적인 약점마저 부인하면서 자신을 좋게 보이려고 는 긍정왜곡 경향을 측정
K (교정) 척도 : L 척도에 반영되는 것보다 조금 더 세련되고 교묘한 방어성을 탐지
S (과장된 자기제시) 척도 : 하위척도(5개): 인간의 선함에 대한 믿음, 평정심, 삶에 대한 만족감, 흥분/분노에 대한 부인 및 인내심, 도덕적 결점에 대한 부인
3. MMPI의 임상 척도
1) 임상척도
1, 2, 3, 4, 5, 6, 7, 8, 9, 0 번 척도
신경증적 경향(neurosis): 1, 2, 3, 4 번 척도
Hs(건강염려증), D(우울증), Hy(히스테리), Pd(반사회성)
정신증적 경향(psychosis): 6, 7, 8, 9 번 척도
Pa(편집증), Pt(강박증), Sc(정신분열), Ma(경조증)
추가 지표: 5, 0번 척도
Mf(남성특성/여성특성), Si(내향성)
2) 임상 소척도
각 임상척도의 문항을 내용에 따라 분류한 것
모척도 65T 이상 소척도 65T 이상일 때 해석
특정 임상척도 T 점수 상승의 의미를 명확히 함
예: 척도 2가 상승한 이유 : D1? vs D5?
Hs, Mf, Pt는 소척도가 없음
4. MMPI의 임상 소척도
1) 재구성 임상 척도
임상 척도의 제한으로, 2003년 Tellegen 등에 의해 개발
임상 척도의 제한점
타당성 의심스러운 문항들, 척도 상승의 의미가 불명확
척도간 상관 높고, 척도의 차별적 해석이 어려움
제한점 극복을 위한 시도들
하위척도의 개발
보충척도의 개발
코드타입의 해석
재구성 임상 척도
척도명 / 내용
RCd dem Demoralization 정서적 혼란과 관련된 문항
RC1 som Somatic Complaints 신체적 불편감
RC2 Ipe Low Positive Emotions 낮은 긍정적 정서
RC3 cyn Cynicism 냉소성
RC4 asb Antisocial Behavior 반사회적 행동
RC6 per Ideas of Persecution 피해의식
RC7 dne Dysfunctional Negative
Emotions 역기능적 부정적 정서
RC8 abx Aberrant Experiences 기태적 경험
RC9 hpm Hypomanic Activation 경조증적 상태
2) 성격병리 5요인 (PSY-5) 척도
PSY-5는 정상적인 기능 및 임상적인 문제 모두와 관련되는 성격특질을 평가하기 위해 제작됨
심리장애를 범주적(categorical)으로 분류하는 체계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됨
성격장애를 정상성격기능의 연장선에서 개념화할 필요
차원적(dimensional)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제기됨
주요 성격특성의 전체적 윤곽을 제공
다른 특성 모델과 연계성을 가짐
Five Factor Model, Tellegen의 MPQ superfactors, Zuckerman의 Alternative-5
정리
1. 객관형 성격검사 고정된 선택지로, 이분형 척도와 차원형 척도가 있다.
2. MMPI는 자기 보고식 검사로 이분형 응답이다. 정신과적 진단을 확인하고 범주화하며, 성격적 특성을 추론하는 데에도 사용을 하는 목적이 있다.
3. 성격병리 5요인(PSY-5)은 정상적인 기능 및 임상적인 문제 모두와 관련되는 성격특질을 평가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참고
- 임상심리학 (8판). 권정혜 등 역. Cengage Learning. 2014
- 임상심리학 입문,린다 A. 헤이든, 마잉클 허슨, 학지사, 1995 - Clinical Psychology, 8th Edition. Trull and Prinstein. 2013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소년기이해론] 청소년기의 친구관계 (0) | 2024.04.18 |
---|---|
[임상심리학] 투사 검사 (1) | 2024.04.18 |
[임상심리학] 지능 2 (0) | 2024.04.18 |
[임상심리학] 지능 1 (1) | 2024.04.18 |
[인지심리학] 절차기억 (0) | 2024.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