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

[대인관계의 심리학] 인간의 감정특성

by 속마음 2024. 5. 8.
728x90
반응형
SMALL

인간의 감정특성

 

목표

1. Plutchik의 정서바퀴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실제생활에 적용하고 활용할 수 있다.

2. 대인감정의 특성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실제생활에 적용하고 활용할 수 있다.

 

내용

1. 정서바퀴를 통한 다양한 감정 특성의 이해

2. 대인감정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3. 대인감정의 특성

4. 부정적 대인감정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1. 정서바퀴를 통한 다양한 감정 특성의 이해

1) 정서이론

- 왓슨(Watson) : 정서란 신체적 기제 즉, 내장과 내분비계의 심원한 변화를 수반하는 유전적으로 틀 잡힌 반응임

- 캐넌(Cannon) : 정서는 단순한 감각에다 시상과정의 각성이 첨가될 때 일어남

- 톰킨스(Tomkins) : 정서는 일정한 유형의 자극에 대해 선천적으로 타고난 반응이며, 얼굴반응을 통해 표현되는 것

동기는 신체적 욕구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이고, 정서는 이들 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함

- 프리자(Frijda) : 정서는 환경과의 관계를 수립하거나, 유지하거나, 붕괴시키는 경향성 정서는 위기나 훼방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나는 행위 준비성의 변화

- 플루치크(Plutchik) : 정서란 자극에 따라 재생산, 합병, 치환, 지향, 보호, 재통합, 거부 혹은 탐색들 중 일부의 조합으로 나타나는 구조화된 신체적 반응

2) 플루치크(Plutchik)의 정서바퀴

- 심리 진화적 정서이론

- 표정과 몸짓을 대상으로 기본 정서를 파악

- 정서는 마음의 움직임으로 얼굴표정, 언어, 신체적 변화, 다양한 행위 등으로 나타남.

- plutchik의 이론은 정서바퀴를 그려 8개의 기본 정서들이 서로 가까운 정도를 표시

- 8개의 기본정서 : 공포(fear), 분노(anger), 기쁨(joy), 슬픔(sadness), 수용(acceptance), 혐오(disgust), 기대(expectancy), 놀람(surprise)

- 인접성의 정도에 따라 유사성의 정도가 결정된다.

- 바퀴의 반대편에 있는 정서들은 서로 반대되는 정서들을 표시

: 기쁨과 슬픔, 수용과 혐오, 공포와 분노, 놀람과 기대 등

- 각 정서는 강도, 혹은 흥분 수준에 따라 연속선상에 놓을 수가 있다.

: 분노는 격노분노짜증으로 약화되다가 수면으로 끝난다.

- 기본정서들이 혼합되면 정서의 칵테일처럼 복합정서들이 산출하게 된다.

- 어떻게 섞느냐에 따라서 각기 다른 감정이 생긴다.

- 상호 관련된 세 개의 모형 즉, 구조모형, 서열모형, 파생모형을 제시하고 있음

- 구조모형 : 정서는 강도, 유사성, 양극성이라는 특징을 포함

일차적 정서 - 기쁨, 수용, 공포, 놀람, 슬픔, 혐오, 분노, 기대

- 서열모형 : 정서는 복잡하고 순환적인 피드백 체계를 갖고 있음

내적, 외적 자극 - 정서촉발 - 행위충동 - 자극에 대한 반응

- 파생모형 : 정서는 어린 시절부터 갖고 있는 것이 파생되어 나타남

성격은 정서 상태에서 파생된 것임

 

2. 부정적 대인감정의 특성

1) 분노

- 분노란 어떤 사람에게 상처를 주거나 그 사람을 몰아내려는 욕구와 관련된 정서 상태

(1) 분노에 관한 일반적인 생각들

- 분노는 생화학적으로 결정된 사건

- 분노와 공격적인 성향은 인간의 본능

- 좌절감은 공격으로 이어짐

- 분노를 표출하는 것은 건강에 이로움

(2) 분노로 인한 생리적 피해

- 분노는 높은 혈압과 관련이 깊으며, 고혈압을 유발

- 만성적인 적대감과 분노는 심장과 동맥을 해칠 수 있음

- 분노는 염산 과다를 유발하여 위염과 위궤양을 가져올 수 있음

(3) 분노로 인한 대인관계적 대가

- 분노의 표출로 인해 상호 공격성의 수준이 증가

- 분노를 갖고 있는 사람들은 직장과 학교생활에서 어려움을 겪으며, 알코올을 더 많이 섭취하고, 사람들과 갈등관계를 유발할 때가 많음

- 분노는 경계와 두려움의 분위기를 만들기 때문에 관용과 융통성이 줄어듦

- 화난 사람들은 종종 무기력감을 표현

- 분노는 결정 과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자기 패배적 행동을 유도할 수도 있음

 

2) 슬픔

- 슬픔은 행복과 반대어지만 특별한 관련이 있음

- 슬픔은 상실감에 대한 정서적인 반응

(1) 슬픔의 원인

- 불쾌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에 있을 때

- 우리의 목표와 양립할 수 없는 외부적인 사건

- 결과를 변경시키거나 어떻게 할 수 없을 때

- 우울은 슬픔이 아니라 즐거움의 결핍으로 볼 수 있음

(2) 슬픔의 기능

- 스트레스나 고통, 질병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신체가 그러한 것들을 다루는 방법 중의 하나임

- 병들거나 고통을 당할 때 비활동적이 되고 도피하는 경향성은 도움이 됨

- 울음의 기능: 유아 때의 흔적, 타인들의 강한 반응유도

 

3) 수치심

(1) 수치심의 특성

- 당혹감이나 수치심, 죄책감, 자부심 같은 정서는 자의식의 정서에 해당함

- 수치심은 무언가에 실패했거나 도덕적으로 잘못을 저지르고 나서 이를 자신의 전반적, 안정적 결함에 초점을 맞추었을 때 느끼는 부정적인 정서임

(2) 수치심을 가진 사람의 특성

- 분노와 사회적 불안을 더 많이 경험함

- 공감은 덜 느끼는 경향이 있음

- 부정적 결과를 내부, 안정적 요소에 귀인함

- 다른 사람들의 불만이나 비난에 민감하게 반응

4) 당혹감

(1) 당혹감의 특성

- 사람들이 사회적 관습을 위반했을 때 느끼게 되는 정서임

- 얼굴이 붉어지는 특징을 나타냄

- 당혹감을 느끼는 상황으로는 실수, 시선 집중, 난처한 상황 등이 있음

5) 혐오와 경멸

(1) 혐오와 경멸

- 혐오: 청결함에 대한 신성성이 침해된 경우에 발생

- 경멸: 공동체의 기준이 침해된 경우에 발생

- 분노: 개인의 권리가 침해된 경우에 발생

(2) 혐오의 특성

- 혐오의 생리적 반응은 메스꺼움

- 혐오가 유발하는 반응의 범위는 제한적

- 혐오는 인지적인 생각만으로도 유발될 수 있음

- 혐오는 감염과 유사한 특성이 있음

 

4. 부정적 대인감정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1) 분노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분노의 표출로 인해 상호 공격성의 수준이 증가

- 분노를 갖고 있는 사람들은 직장과 학교생활에서 어려움을 겪으며, 알코올을 더 많이 섭취하고, 사람들과 갈등관계를 유발할 때가 많음

- 분노는 경계와 두려움의 분위기를 만들기 때문에 관용과 융통성이 줄어듦

- 화난 사람들은 종종 무기력감을 표현

- 분노는 결정 과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자기 패배적 행동을 유도할 수 있음

2) 슬픔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다른 사람들이 배척하려고 할 경우 사회적 접촉으로부터 물러나도록 유도

- 다른 사람들에게 도와달라는 메시지를 전달

3) 수치심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낮은 자존감으로 인해 거짓 자아를 형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솔직한 자신을 표현하지

못할 수 있게 된다. - 타인의 비난에도 스스로 무언가를 할 수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되고 그래서 쉽게 화를 냄

 

 

정리

1. 심리진화론적 정서 이론인 플루치크의 정서바퀴이론은 기쁨과 슬픔, 수용과 혐오, 공포와 분노, 놀람과 기대의 8개 기본정서들이 혼합되면 정서의 칵테일처럼 복합정서들이 산출되며, 어떻게 섞느냐에 따라서 각기 다른 감정이 생긴다. 2. 정서바퀴이론은 상호 관련된 세 개의 모형 즉, 구조모형, 서열모형, 파생모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3. 기본 정서는 특정한 신경학적 기초를 가지며, 특정한 얼굴 표정을 지니며, 얼굴 표정에 대한 실험에서 기쁨과 수치심에 대한 판단은 정확하게 한다. 4. 정서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평가가 일어나야 하며, 평가가 정서적 상태를 결정한다.

5. 대인감정은 생리적 반응을 수반하고 행동을 촉진하며, 감정표현은 개인에 따라 문화에 따라 차이가 있다.

6. 분노란 어떤 사람에게 상처를 주거나 그 사람을 몰아내려는 욕구와 관련된 정서 상태이다.

7. 슬픔을 유발하는 상황은 불쾌하고, 외부에서 기인하며, 통제 불가능한 것이다.

8. 수치심은 무언가에 실패했거나 도덕적으로 잘못을 저지르고 나서 이를 자신의 전반적, 안정적 결함에 초점을 맞추었을 때 느끼는 부정적인 정서이다.

9. 당혹감을 느끼는 상황으로는 실수, 시선 집중, 난처한 상황 등에서 발생한다.

10. 혐오는 청결함에 대한 신성성이 침해된 경우에 발생하며, 경멸은 공동체의 기준이 침해된 경우에 발생한다.

11. 분노를 갖고 있는 사람들은 직장과 학교생활에서 어려움을 겪으며, 알코올을 더 많이 취하고, 사람들과 갈등관계를 유발할 때가 많다.

12. 슬픔은 다른 사람들이 배척하려고 할 경우 사회적 접촉으로부터 물러나도록 유도하기도 하며, 다른 사람들에게 도와달라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13. 수치심은 낮은 자존감으로 인해 거짓 자아를 형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솔직한 자신을 표현하지 못할 수 있게 된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