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

[학습심리학] 습관화

by 속마음 2024. 4. 21.
728x90
반응형
SMALL

 

습관화

 

목표

1. 습관화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2. 습관화의 원리를 정리할 수 있다.

3. 정서반응의 습관화를 설명할 수 있다.

 

내용

1. 습관화의 개념

2. 습관화의 원리

3. 정서반응의 습관화

 

1. 습관화(habituation)의 개념

1) 개념

가장 기초적이고 단순한 학습의 형태 중 하나임

인지 발달을 가능하게 하는 가장 기본적인 학습 단계임

정보가 적거나 아예 없는 자극에는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함

동일한 자극이 짧은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제시될 때 주의를 덜 기울이며 그 행동의 강도나 발생빈도가 감소하는 것

습관화는 동물들이 생존과 번식에 관련이 없는 자극에 대해 시간이나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고 생존과 밀접하게 관련된 행동들에 자신들의 에너지를 집중시킬 수 있게 해 줌

신생아의 습관화 능력(생후 4시간 신생아의 청각 능력 검사)§ 신생아는 태어나서부터 습관화의 능력을 갖게 됨

고무젖꼭지에 감지기를 달아 소리가 나도록 함

처음 소리가 울리면 소리를 듣기 위해서인지는 모르나 젖꼭지 빨기를 멈춤

소리듣기가 수 회 반복되면 젖꼭지 빨기를 계속함

소리를 약간 변화시키면 다시 빨기를 멈춤

이같이 두 번째 소리로 젖꼭지 빨기를 멈추었다는 것은 첫 번째 소리에는 습관화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함

 

2) 특징

(1) 자극 특정성(stimulus specificity)

한 사건에 대한 습관화가 모든 다른 자극에 대해서도 습관화를 유발하지는 않음

유사한 자극이 유사한 결과를 예언할 때는 자극일반화(stimulus generalization)가 나타남

 

(2) 탈습관화(dishabituation)

새로운 자극에는 선택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며 이미 익숙한 자극에는 주의를 덜 기울이는 적응적 과정으로 반응갱신 현상임

습관화된 자극에 변화를 주면 감소하였던 주의와 반응이 다시 증가하는 것을 의미함

어떤 자극이 일련의 단조로운 반복에 끼어들면 흔히 탈습관화가 발생함

탈습관화는 반복 자극에 대한 반응의 부재가 정말로 습관화 때문인지 피로와 같은 다른 요인에 의한 것인지 밝혀주는 수단이 됨

 

3) 습관화와 심리기능

습관화가 중요한 이유

중요하지 않은 자극에 습관화하지 못하는 유기체는 더 중요한 자극에 주의를 기울이기 어렵기 때문임

습관화 속도와 정신 능력은 관련이 있음

유아와 아동이 반복적인 자극에 습관화되는 속도는 이후의 정신 능력과 관련이 깊다는 연구 증거들이 있음

Laucht, Esser & Schmidt(1994)의 연구결과

생후 3개월에 반복적인 자극에 더 빠른 습관화를 보인 유아가 4세에 실시한 지능검사에서 점수가 약간 높았음

태내에서도 태아는 진동이나 소리 같은 자극에 습관화를 보임

습관화 비율이 생후 6개월 인지기능 검사에서의 수행과 관련이 있음

습관화 기능

습관화가 개체에 제공하는 기능은 분명함

- 유기체는 일상 활동 중 이득자극, 위험자극, 이득도 위험도 아닌 자극을 접하게 되는데 대수롭지 않은 수많은 자극에 계속하여 깜짝 놀라거나 방해를 받으면 시간과 에너지만 낭비하게 됨

- 따라서 반복하여 마주치는 대수롭지 않은 수많은 자극을 무시하는 것은 유기체에 이득이 됨

 

2. 습관화의 원리(Thompson & Spencer)

인간, 포유동물, 무척추동물에게서 공통으로 관찰되는 매우 특별한 습관화의 속성을 제시하였음

1) 습관화 과정

특정 반응의 습관화는 자극이 반복 제시될 때마다 일어남

시행이 증가하면서 일어나는 반응의 감소는 처음에는 크지만, 습관화가 진행될수록 점차 작아짐

2) 시간 효과

습관화가 일어나고 난 다음에 일정 기간 자극이 주어지지 않으면, 반응은 회복됨

시간이 지나면서 습관화는 망각되었다고 할 수 있음

3) 재학습 효과

시간 간격이 길면 습관화가 사라질 수도 있지만, 이차로 제시되는 일련의 자극에 대한 습관화는 더 빠르게 진행됨

습관화 기간으로부터 절약률이 존재함

4) 자극 강도 효과

습관화는 약한 자극에 더 빨리 진행됨

자극이 매우 강하면 습관화가 전혀 일어나지 않을 수 있음

5) 과학습 효과

자극에 대한 반응이 완전히 사라졌다고 할지라도 추가적인 학습이 습관화에서 일어날 수 있음

6) 자극일반화

일반화는 한 자극에서 유사한 새로운 자극으로 습관화가 전이되는 것을 의미함

일반화의 양은 새로운 자극이 습관화된 자극과 얼마나 유사한지에 달려 있음

 

3. 정서반응의 습관화 : 대립과정이론

1) 대립과정이론의 개요

대립과정이란 어떤 정서나 동기 상태와 상반되는 내적 상태가 유도되는 경향성을 말함

동기와 정서의 역동성은 정상상태로부터 일탈하는 것을 상쇄시킴

기쁨이나 즐거움은 부정적인 방향으로, 슬픔이나 고통은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는 대립과정이 출현함

대립과정은 본래의 정서나 동기보다 미약한 경험을 하게 함

극단적인 쾌감은 단순한 기쁨으로 극단적인 공포는 단순한 두려움으로 표현됨

내적으로 유도되는 대립과정은 일차과정의 크기에 비례해서 출현하며 반복되는 정도에 따라 커지는 특징이 있음

정서나 동기가 크면 클수록 여러 번 반복되면 될수록 대립과정에서 유도되는 이차과정도 커짐

우리가 느끼고 경험하는 정서는 차츰 그 강도가 약화함

이것은 반복 경험할수록 주의도 감소되고 대단한 것이 아닌 것으로 간주하게 만듦

2) 대립과정이론에 따른 정서의 변화

특정 자극에 반복적으로 노출될 때 초기 정서반응은 일종의 습관화가 일어나면서 동시에 사후 반응의 강도와 기간은 눈에 띄게 증가함

정서반응의 a-과정과 b-과정

솔로몬(Solomon)과 콜비트(Corbit)는 많은 정서반응의 패턴이 a-과정과 b-과정이라 불리는 길항적인 두 내부 과정의 결과라고 가정하였음

- a-과정 : 초기 정서반응 담당

- b-과정 : 사후 정서반응 담당

자극의 제시가 끝나고 a-과정이 빠르게 소멸하면 b-과정이 남는데 이것이 사후 정서반응을 만들어 냄

 

초기정서 반응이 정점 상태에서 안정상태로 내려가는 것은 b-과정에서 상승이 원인 임

a-과정은 자극에 대해 최대로 반응함

자극이 제시되는 동안 유지되는 빠른 활성화 반응으로 자극이 사라지면 빠르게 소멸함

a-과적의 활성화는 b-과정의 활성화에 의해 어느 정도 상쇄되고 정서반응은 약해짐

a-과정은 변화되지 않음

b-과정은 사용하면 강해지고 불사용하면 약해짐

자극이 반복될수록 b-과정은 더 빠르게 활성화됨 더 높은 수준에 도달함

자극이 사라지고 난 뒤의 소멸은 더 느림

 

3) 대립과정이론실험

솔로몬(Solomon)과 콜비트(Corbit) 실험(1974)§ 비행기에서 낙하산을 타고 뛰어내리는 스카이다이버들이 스카이다이빙을 하는 과정 내내 어떤 기분이고 그 기분이 어떻게 변해 가는지를 조사했음

스카이다이빙 초보자들은 점프 직전에 엄청난 공포감을 느꼈고, 무사히 착지한 직후부터는 엄청난 안도감을 느낀다고 응답했음

그런데 초보자들이 점프를 반복할수록 점프 직전에 느끼는 공포감은 점점 줄어들고 착지 후에 느끼는 안도감은 점점 더 커진다는 것을 발견했음

나중에는 스카이다이빙 고수가 되면 점프를 하러 비행기를 타고 하늘에 떠오르는 순간부터 마음이 차분해짐을 느낌

사람은 언제나 서로 대립하는 두 쌍의 정서를 동시에 느낌

예를 들어 우리가 쾌감을 느낄 때, 우리 몸속 어딘가는 불쾌감을 동시에 느끼고 있음

두 가지 대립 정서 중에서 처음에 우세하던 정서는 반복될수록 약화되고, 처음에는 약하던 정서는 반복될수록 더 강해짐

처음에 짜릿하고 쾌감을 주던 일은 반복하면 할수록 점점 더 지루하고 불쾌한 일이 되고, 처음에는 고통스럽고 불쾌한 일이 반복될수록 오히려 황홀한 쾌감을 주는 일이 될 수도 있음

 

4) 약물중독과 대립과정

동기의 대립과정은 약물중독 현상 잘 설명함

중독성 약물을 장기간 투여하면 내성 효과가 나타나고 약물 투여를 금지하면 금단징후를 겪음

대립과정이론에 의하면, 내성과 금단징후는 이차과정의 영향으로부터 생김

약물을 투여하게 되면 약물 투여 효과와 이차 동기인 약물 투여 반대 효과가 나타남

처음에는 약물 투여 효과가 크게 작용하지만 여러 번 반복되면서 약물 투여로 비롯되는 효과와 반대되는 효과가 점점 커지게 됨

 

정리

1. 습관화는 동일한 자극이 짧은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제시될 때 주의를 덜기울이며 그 행동의 강도나 발생빈도가 감소하는 것이다.

2. 습관화가 중요한 이유는 중요하지 않은 자극에 습관화하지 못하는 유기체는 더 중요한 자극에 주의를 기울이기 어렵기 때문이다.

3. 습관화의 원리에는 습관화 과정, 시간효과, 강도효과, 재학습 효과, 과학습 효과, 자극일반화 등이 있다.

4. 대립과정이란 어떤 정서나 동기 상태와 상반되는 내적 상태가 유도되는 경향성을 말한다.

 

728x90
반응형
LIST